Professional #000000 Collector;
Mischievous Creative Specialist;
[{(ART)+tech}IST];
a multidisciplinary artist;
“블랙메일”은 ‘어떤 비밀이나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협박하는 나쁜 의도를 가진’ 행위로 정의된다. 그러나 나의 ‘블랙메일’은 협박보다 애증을 가득 담은 ‘편지’에 가깝다. 비즈니스 메일의 형식 - 폰트까지도 가장 공 식적으로 널리 쓰이는 Times New Roman을 사용하였다 - 을 그대로 차용, 최대한의 예의와 격식을 갖추고, 나의 존재를 어필하며 솔직한 마음을 전한다. Impasto 기법으로 직접 한글자씩 그려가는 손편지의 ‘블랙메일’은 무언가 나만의 것을 만들어내려는 ‘아티스트’로 서의 내가 자본주의와 물질주의적 세상에서 말도 안되는 트렌드를 창조하고 이끌어가는 이들의 창의성에 대한 존경 과 애정을 담아 보내는 메세지다. 또한 지극히 평범한 구매자이자 소비자로서 그들의 제품을 소유 및 파괴하는 의도 적 행위를 통해 표현하는 작고도 무의미한 나만의 저항, 그리고 카타르시스를 담아낸 작업이며 매니페스토이다. 사회는 어둠과 개인의 물욕, 욕심, 소유욕을 ‘불순’하게 여기고 터부시한다. 그러나 나는 괴테가 말한 “모든 색을 잉 태한 색”이자 비밀스러움을 담은 ‘검정색’만을 작업에 사용함으로써 진정한 ‘“블랙”메일’을 제작, 나의 소유욕과 욕 망을 솔직하면서도 은밀하게 텍스트적 이미지와 퍼포먼스, 그리고 오브제로 시리즈를 이어가고 있다. "Blackmail" is defined as 'the act of threatening someone with the intention of exploiting them using a secret or information'. However, my "blackmail" is closer to a 'letter' filled with affection rather than a threat. Modeled after the format of a business email, even using the most widely used Times New Roman font, I adopt as much politeness and formality as possible to appeal my sincere feelings and existence. The 'blackmail' of handwritten letters, drawn letter by letter using the impasto technique, is a message sent with respect and affection for those who create and lead absurd trends in capitalism and materialistic society, as an 'artist' of creating something unique. It also serves as my manifesto, expressing my small and insignificant resistance as an ordinary consumer by owning and destroying their products, and embodying catharsis. Society regards darkness and personal desires, greed, and possessiveness as 'impure' and condemns them. However, by using only the color "black," which Goethe described as "a color that contains all colors" and filled with secrecy, I continue my true "blackmail" by following up on my desire and desire through textual images, performances, and the series of objects.
Blackmail #001
Dear Jacquemus
116.8cm x 80.3cm (50P) +α // Mixed Media on Canvas with an object // 2022
여자의 옷엔 주머니가 많지 않다. 하지만 들고 다녀야 할 것은 점점 많아지고, 가방은 점점 작아진다, 유행을 따라가지 않을 순 없지만 어쩌란거지?
그리고 왜 더 비싸지는거죠?
Women's clothing doesn't have many pockets. Bags are getting smaller. It's hard not to follow the trend, but what else can you do? And why are they becoming more expensive?
Blackmail #002
Xox, Louboutin
145.5cm x 97cm (80P) +α // Mixed Media on Canvas with installation // 2022
신발은 원래 발을 보호하려는 목적의 존재인데 밑창이 긁힐까 걱정하고 못 신고 못 걷는게 정상일까?
As Zendaya and Carrie from the iconic TV show “Sex and the City” referred to, Christian Louboutin’s red soles surely mesmerize people. Yet what is the point if one cannot actually walk or protect their feet because they are worried about the shoes?
Blackmail #003
FxxK You, Kapoor
162.2cm x 130.3cm (100F) // Mixed Media on Canvas // 2022
아니시 카푸어 당신을 존경합니다,
하지만 너무 이기적이고 독선적이시네요.
You cannot own a color. Also yes, I bought and used the Blk 3.0 just for the sake of making a statement. I love you, but politely, fxxk you.
Blackmail #004
Just Buy it
130.3cm x 162.2cm (100F) // Mixed Media on Canvas // 2023
고작 운동화 하나가 뭐라고 사람들은 열광할까,
2021년 나이키의 VP 앤 허버트는 아들 조 허버트의 리셀 비즈니스 사건
으로 사퇴하였다.
공홈에서 새로고침 하고 매장 앞에 서서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기다리고 몇배 넘는 가격에 사는 평범한 우리는 뭐가 되지?
부모 잘 둬서 좋았겠다!
Remember the 2021 Nike's resell scandal and VP Ann Herbert's resignation due to her son's reselling business?
It must be nice to have a mother who can not only gets you everything.
Blackmail #005
Dear Apple Inc.
97cm x 145.5cm (80P) // Mixed Media on Canvas // 2023
이제 스마트폰이 없으면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이에 대해선
스티브 잡스에게 존경을 바친다. 하지만 매년 충전 단자와 색만 바뀌었지만 더 비싸진 폰, 태블릿, 노트북을 사야할까?
무엇보다 필수 생존 용품이 이렇게 비싼게 정상일까?
It has become difficult to survive without a smartphone. In this regard, I express admiration for Steve Jobs. However, with phones, tablets, and laptops getting more expensive each year, despite only changes in charging ports and colors, is it necessary to keep buying them? Above all, is it normal for essential survival items to be so expensive?
Blackmail #006
IKEA x BALENCIAGA
Dimension varies // Mixed Media and objects // 2023
패션브랜드 발렌시아가의 충격적인 행보와 디자인들은 이제 익숙해질 법도 되었지만 2023년 건드려선 안 될 것을 건드렸다: 홀리데이 캠페인에 아동성애와 페티쉬를 표현해버린 것이다. 이케아의 리트리버 인형은 만국 공통 동심을 대표하는 아이템이다. 이케아와 발렌시아가의 관계가 마케팅의 일부라면 이것은 나의 노이즈 마케팅이다.
Despite becoming accustomed to the shocking moves and designs of the fashion brand Balenciaga, they crossed a line in 2023: expressing pedophiliac and fetishistic themes in their holiday campaign. The IKEA retriever doll, representing universal childhood innocence, is now part of their marketing, intertw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KEA and Balenciaga as part of my noise marketing strategy.
Blackmail #007
MONOPOLY LVMH Edition
130.3cm x 130.3cm (100S) 150cm x 150cm x 50cm when installed
// Mixed Media on canvas // 2024
2024년 포브스 기준 1위 부자는 @lvmh 의 Bernard Arnault. 2023년 유럽 내 14개의 리조트 및 스키장 구매를 통해 돈세탁을 하였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celine, @louisvuitton, @dior, @moetchandon 등 우리가 흔히 보고 아는 모든 브랜드들을 소유한 베르나르 아르노야말로 자본주의의 끝판왕이 아닐까. @hermes 와 @tiffanyandco를 잊지 말자. Hail #capitalism!
As of 2024, Forbes reports Bernard Arnault of @lvmh as the world's richest person. He faced suspicions of money laundering in 2023 due to the acquisition of 14 resorts and ski resorts in Europe.
Owning well-known brands like @celine, @louisvuitton, @dior, @moetchandon, along with others, Arnault epitomizes the pinnacle of capitalism. Let's not forget @hermes and @tiffanyandco.
Hail #capitalism!
Delulu is the Solulu #001
NEPO BABIES UNITE
162.2cm x 97cm (100M) // Mixed Media on canvas // 2023
네포 베이비(Nepo Baby)는 족벌주의를 뜻하는 영어 단어 네포티즘(nepotism)과 아기(baby)의 합성어로 미국판 '금수저' 아이를 가리킨다. 그중에서도 특히 미국 산업계나 금융계보단 연예계의 유명인을 부모로 둔 아이들을 비꼬는 느낌으로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부럽다, 부럽다, 부럽다.
I to be honest do not care or dislike nepo babies. It must be nice to be born into Trump, Hilton and Kardashian-Jenner families, and I somewhat think they also suffer from life problems just like us commoners. I have seen many people with lines who got what they want because of their families and I felt a bit unfair, but I guess that is also something one can have!
Sadomasochism #001

Untitled on Purpose 1
180cm x 20cm x 3cm // Mixed Media on canvas // 2023-4
새디즘과 마조히즘은 동전의 양면, 즉 사도마조히즘은 모든 이들에게 잠재되어 있다고 간주된다. 출근하기 싫어하면서도 꼬박꼬박 출근해서 돈을 벌고, 돈을 벌며 받은 스트레스를 소비를 통해 풀고, 이 고리에서 영영 벗어나지 못한다. 어쩌면 자본주의는 사도마조히즘 그자체 아닐까?
Sadism and masochism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in other words, sadomasochism is considered inherent in everyone. Even if one dislikes going to work, they diligently go to earn money, then relieve the stress through consumption, creating a cycle that seems impossible to break free from. Perhaps capitalism itself is nothing but sadomasochism in action.

Sadomasochism #002
Untitled on Purpose 2
160cm x 20cm x 3cm // Mixed Media on canvas // 2023-4
더 이상의 설명은 거부합니다. :)
"I refuse any further explanation. :)
Delulu is the Solulu #002
Hermés Baby
162.2cm x 112.1cm (100P) // Mixed Media on canvas // 2023-4
돈이 있어도 못 사고, 판매원의 눈치와 비위를 맞춰가야 한다.
그런데 신기하게 들고다니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어떻게 가능한거지?
이렇게 돈 많은 사람들이 많다고?
You need to keep a relationship with a sales associate who I do not think get paid enough to actually afford the items they sell. They will judge you. It is the symbol of luxury, but for some reason I see so many people carrying them around. My only question is HOW?
Delulu is the Solulu #003
MANIFE$T
30cm x 40cm oval // Mixed Media on canvas // 2023
들숨에 이자 날숨에 재력 들어오게 해주세요.
Manifesting that clear skin, that money, that relationship goal, everything you want baby!
Delulu is the Solulu #004
$$$
40cm x 50cm oval // Mixed Media on canvas // 2023
gen Alpha? 가서 숙제하렴, 지금은 MZ세대 세상이야.
I do not understand why my therapist starts typing faster whenever I crack up jokes about myself.
Capitalism Baby #001
I <3 $$$ (Mr. Krabs)
72.7cm x 72.7cm (30S) // Mixed Media on canvas // 2023
"내 돈 세는 중. 꿀보다 달콤한 돈. 돈 돈 이것, 돈 돈 저것. 이윤이 내 지갑을 푹 차게 만들 거야!"
“Counting me money. Money sweeter than honey. Money money this, money money that. Profit will make me wallet fat!”


Capitalism Baby #002
I <3 $$$ (Mr. Burns)
72.7cm x 72.7cm (30S) // Mixed Media on canvas // 2024
돈은 좋아. 돈은 짜릿해. 돈은 최고야
"Family, religion, friendship. These are the three demons you must slay if you wish to succeed in business."
Blackmail #008
Money Talks
60.6cm x 60.6cm (20S) // Mixed Media on canvas // 2024
라틴어로 'Pecunia sana, Capitalismus sanus'는 '건강한 돈, 건강한 자본주의'로 해석된다. 오니츠카 타이거의 모토는 'anima sana in corpore sano'로, '건강한 몸에서 건강한 정신'을 의미하고, 이 브랜드는 청소년에 긍정적인 영감을 주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제품의 가격은 참 부정적이다.
Pecunia sana, Capitalismus sanus" translates to "Healthy Money, Healthy Capitalism" in Latin. Onitsuka Tiger's motto is "anima sana in corpore sano" which means "a sound mind in a sound body"; The brand determines to inspire positivity in the youth, however the prices of their products are not so positive; This work gives a piece of my mind towards the brand;

Capitalism Baby #003
OnlyFans Baby
116.8cm x 80.3cm (50P) // Mixed Media on canvas // 2023-4
아프리카BJ, 트위터, 원조교제, 포르노 - 돈으로 성을 구매하는 것은 단순히 인간에게서만 찾을 수 있는 점이 아니지만 어떤 새로운 기술이 발전해도 인간은 제일 먼저 성적 만족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온리팬즈가 한국에서도 가능해졌다가 규제 및 처벌이 시작된다는 뉴스에 달린 댓글들은 인간 스스로들이 얼마나 자신을 상품화 하 는 것에 익숙해졌는지에 대한 환멸이 들게 했다.
Sugardaddy.com, twitter, Instagram, pornography - Purchasing sex with money is not something only found in humans, but no matter how much new technology advances, humans have always used it as the first means of sexual satisfaction.
Comments on the news that OnlyFans became possible in Korea but regulation and punishment began, made me feel disillusioned about how accustomed humans have become to commodifying themselves.
Blackmail #009
Oops? (Nike x DIOR)
Dimension varies // Mixed Media Installation with Performance // 2024
운동화에 로고랑 뭐 좀 붙었다고 천만원이 넘는다니 헛웃음이 나온다.
하지만 내가 이 신발을 신는다고 나의 가치가 천만원이 올라갈까?
Just because a logo or something is attached to sneakers, and they cost over ten million won, it's laughable. But will my value increase by ten million won just because I wear these shoes?

Blackmail #010
33 Verstappen
72.7cm x 60.6cm (20F) // Mixed Media on canvas // 2024
절대로 내가 페라리 팬이라서, 티포시라서, 네덜란드 국가를 외울정도로 들어서 이 작업을 만들지 않았다. 하지만 좀 너무한거 아니야?
I did not made this piece being a petty Tifosi and a fan of Carlos Sainz Jr. I was totally fine with Sir Lewis Hamilton's domination and world championships. Yet 21 out of 22 games ending with Dutch National anthem? I am requesting Scuderia Ferrari for my therapy session compensation OR I am starting applying for Dutch citizenship at this point.

Blackmail #011
Y'all are Doing Amazing Sweeties!
193.9cm x 97cm (120M) // Mixed Media on canvas // 2024
밀레니얼로서 카다시안-제너 제국이 자라오는걸 봤기에 그들의 비즈니스를 옹호하거나 선호하는 편은 아니었다. 하지만 2024년 자본주의 체제 사회에 살아가면서 카다시안-제너가 억만장자 비즈니스를 만들어 내고 자신들을 브랜드화 시킨 것을 보고 경외로움을 느꼈다. 우와.
As a millennial, I wasn't particularly inclined to support or prefer the Kardashian-Jenner empire as I watched it grow. However, living in a capitalist society in 2024 and witnessing the Kardashians-Jenners creating a billionaire business empire and branding themselves, I am simply in awe.

Blackmail #012
The Unholy Trinity of Capitalism
190cm x 190cm +α // Mixed Media on wooden panel // 2024
2023년 리서치 기준 엡스타인의 돈 (라틴어로 Pecunia), 머스크의 영향력 (라틴어로 Potentia) 그리고 트럼프의 권력 (라틴어로 Publicae)를 합치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못할 것은 없다. 무서워 해야할까 아님 나처럼 우주의 티끌은 신경 쓰지 않아도 괜찮을까?
According to my research in 2023, when you combine Epstein's money (Pecunia in Latin), Musk's influence (Potentia in Latin), and Trump's power (Publicae in Latin), there is nothing impossible to do in capitalistic society. Should we be afraid, or is it okay to not worry about the speck of dust in the universe like me? It must be nice tho!
Capitalism Baby #004
Arte Ricco
65.1cm x 65.1cm (25S) // Mixed Media on canvas // 2024
아르테 포베라는 예술가들이 소비주의와 고급 미술재료에 반대하며 대중적이고 저렴한 소재를 활용하여 예술을 만들었다. 이 무브먼트는 작품을 통해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다루기도 했었는데, "저 미술해요"라는 말 꺼냈을 때 스치는 편견의 눈길 받은지 반평생이다, 이제 그러려니 할란다. 나는 아르떼 리코다!
Arte Povera artists opposed consumerism and expensive art materials, opting instead to create art us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materials. This movement also addressed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rough their artworks. I have received sideways glances of bias when uttering "I'm an artist" throughout half my lifetime, I now do not give a crap it whether people think I am a privileged brat or not - I will do my Art Ricco and that's it.
